Trackback URL :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
http://webzine.inven.co.kr/news_view.php?gidx=0&n=16553&rurl=%2Fnews_main.php%3F 인벤 원문....이제서야 진실을 용감하게 알려주신 인벤 기자님께 경의를 표합니다.(동시에 매장확률이 약간 오르셨다는 비보도 조금 알려드리면서...)사실 동시접속자라는 이름 뒤에는 그늘이 숨어 있다. 바로 통계의 그늘인데. 통계학을 배운 사람들이라면 잘 알겠지만서도, 통계는 자료를...
땅콩샌드 2008/06/28 18:23 # M/D Reply Permalink
흠 문학 시장에서 주례사 비평이란 단어로 얘기되는 바로 그런 경향이군요. 그런데 사실 장사가 잘 될 때는 일을 열심히 하니까 조그마한 비판에도 바로바로 대응하지만, 어차피 다 망한 경우에는 욕을 하든지 뭘 하든지 관심이나 대응할 여력이 없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.
Draco 2008/06/28 19:11 # M/D Reply Permalink
우리나라는 게임 시스템 자체도..은근히 '접속을 유지해야 유리하게' 만들어져 있죠.
이브 온라인처럼, 동접자를 실시간으로 홈페이지에 그래프로 표시해주는 배짱이...우리나라엔 불가능할려나요.
콩 2008/06/28 20:23 # M/D Reply Permalink
좋은 글...좋은 지적포인트 ...
TaKions 2008/06/30 13:09 # M/D Reply Permalink
이브온라인처럼, 접속하지 않고는 배기지 못하는 게임을 만드는게 아니라, 단순한 숫자로서 동접 늘리기 위해 상점 기능을 개발하는 것이 우리나라 온라인 게임의 씁쓸한 현실이죠.
이브의 배짱은 좀 독특하죠. 단일 서버 3만+ 동접이라는, 다른 게임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놀라운 쇼맨십이라고나 할까요.
Welcome to Indie Gaming.
About PIG-MIN
Contact us
Pig-Min Agency
Pig-Min의 저작권 관련
인디게임 FAQ
따라갈만한 트위터
아케이드 : 액션 : 플래포머
슈팅 : FPS
어드벤쳐 :
퍼즐 : RPG
전략 : 시물레이션
시리어스 게임
|